티스토리 뷰
4대보험이라 함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을 말하는 것으로, 국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 하지만 소득에 따라서 내는 금액이 달라지는데요, 4대보험료 자동계산기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4대보험이나 4대보험 계산기로 검색하면 나오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18년 국민연금요율은 월소득액 * 9%로 최저 29만원에서 449만원(이 금액 이상의 소득액은 449만원으로 인정)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게 됩니다.
여기서 근로자는 사업자와 절반씩 나눠서 내며, 개인사업자의 경우 9%를 모두 내게 됩니다.
마찬가지로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의 6.24%,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7.38%를 내게 됩니다.
고용보험료에서 근로자는 실업급여에 관한 부분만 내게 되며, 나머지 부분은 사업자가 부담하는 부분입니다.
마지막으로 산재보험 부분인데요, 이 부분은 사업자와 근로복지공단 담당자와 상의후 결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근로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입니다.
하지만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동계산기는 모의계산이므로 월 소득이 달라짐에 따라 실제 보험료는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 잊지마세요.
이상으로 4대보험료 자동계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갤럭시탭
- 새만금마라톤
- 갤럭시탭 S9
- S23
- 청남대영춘제
- 세무사
- 갤럭시S23
- 갤럭시스마트폰
- 전국 콘서트
- 애플
- 노트북
- 갤럭시북4
- 영탁
- 전국투어
- lg 86인치 tv
- 스마트폰
- 맥북
- S24
- 삼성
- 86인치 tv
- 갤럭시s24
- 가수 이찬원
- 아이패드
- 김호중
- a55
- 아이폰15
- 트롯가수 홍지윤
- 새만금국제마라톤
- 삼성전자
- 맥북에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