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
4대보험이라 함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을 말하는 것으로, 국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 하지만 소득에 따라서 내는 금액이 달라지는데요, 4대보험료 자동계산기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4대보험이나 4대보험 계산기로 검색하면 나오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2018년 국민연금요율은 월소득액 * 9%로 최저 29만원에서 449만원(이 금액 이상의 소득액은 449만원으로 인정)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게 됩니다.


여기서 근로자는 사업자와 절반씩 나눠서 내며, 개인사업자의 경우 9%를 모두 내게 됩니다.






마찬가지로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의 6.24%,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7.38%를 내게 됩니다.



고용보험료에서 근로자는 실업급여에 관한 부분만 내게 되며, 나머지 부분은 사업자가 부담하는 부분입니다.



마지막으로 산재보험 부분인데요, 이 부분은 사업자와 근로복지공단 담당자와 상의후 결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근로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입니다. 



하지만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동계산기는 모의계산이므로 월 소득이 달라짐에 따라 실제 보험료는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 잊지마세요.



이상으로 4대보험료 자동계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