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
추석이나 설날 같은 명절 뿐만 아니라 어디 여행을 갈 때 기름값도 정말 많이 드는데요, 어떨때는 예산의 절반 이상이 연료비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더라구요.. 그래서 여행 계획을 짜기 전에 연료비를 먼저 계산을 해보고 여행계획을 짜니까 나중에 옥신각신 싸울 일이 줄어들어서 참 편리했던 기억이 납니다. 


그래서 오늘 이 시간에는 제가 사용했던 기름값 계산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릴텐데요 도움이 정말 많이 되니 꼭 한 번 사용해보세요






네이버 지도(http://map.naver.com/)에 들어온 후 길찾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


길찾기 메뉴에 들어온 후 자동차 버튼을 클릭하고 입력란에는 본인이 원하는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해줍니다. 저는 예시를 위해서 서울역 ~ 부산역 구간을 한 번 입력해보겠습니다.






결과값을 보면 여러 경로가 나오는데요, 주유비라고 써져있는 곳이 바로 예상되는 기름값입니다. 현재 교통상황과 거리에 비례해서 기름값(약 51,700원)이 계산되는데요, 교통상황에 따라서 실제 유류비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 알아두세요.



주유비 옆의 i버튼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기름값에 대한 상세정보가 뜨는데요, 기본설정은 소형차로 되어있는데, 운행하는 차량이 대형차나 화물차의 경우에는 설정하기 버튼을 눌러서 본인의 차량에 맞게 바꿔줍니다.



상세설정란이 이렇게 뜨면 옵션들을 바꿔줄 수 있습니다.



저는 소형차 / 경유 / 연비 15km로 설정을 바꿔봤습니다.



설정을 바꾸고 나니까 조금 전에는 약 51,700원 정도 나오던 기름값이 37,400원 정도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


이렇게 네이버 길찾기를 활용한 기름값(유류비)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,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